파이썬 기초 2

[Python] 파이썬 eval 과 exec 함수에 대하여

오늘은 편리하면서 위험한 함수인 eval과 exec함수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두 함수 모두 파이썬 내장 함수이며, 아마 파이썬 언어를 공부하면서 지나가다 한 번쯤 봤을 수도 있다. 왜 편리하면서 위험한지 공부해보자. eval 함수 eval 함수는 실행 가능한 문자열을 매개변수로 입력받아 문자열 자체를 실행한 결과값을 리턴해준다. 설명을 잘 못하니 직접 실행시켜보자. >>>> print(eval("5+5")) 10 파이썬 해석기에서 바로 실행한 결과이다. 문자열 "5+5"를 연산 5+5로 해석한 뒤 결과값으로 정수 10을 반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얼핏 보면 정말 편리한 기능을 가진 함수지만, 남용하면 시스템에 큰 오류를 일으킬 수도 있다. 아래 코드를 실행시켜보자. string2 = ''' a+..

[Python] 파이썬 리스트와 튜플의 차이

파이썬으로 코딩을 하다 보면 튜플(tuple)과 리스트(list)를 혼합해서 사용하곤 했다. 두 클래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연산들이 많아서 더 혼용했던 것 같다. 오늘은 짧지만 간단하게 두 자료형의 차이점을 알아보려고 한다. 튜플 vs 리스트 실험 두 자료형 모두 정수형이나 문자열 같은 자료형에 상관없이 요소를 가질 수 있고, 둘 다 인덱스 연산자로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두 자료형 모두 반복문에 사용할 수 있다. list_d = [1,'2',3,'4'] tuple_d = ('1',2,'3',4) print(list_d[0]) print(tuple_d[1]) for i in list_d: print(i) for i in tuple_d: print(i) 나는 두 자료형의 차이점을 append 함수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