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3

[Java] 6. 자바의 함수(메소드)와 오버로딩

이번 글은 자바의 함수에 대한 내용이다. C언어에서는 불가능했던 오버로딩에 대한 개념도 같이 정리해봤다. 자바의 함수 정의 함수를 정의할때 보통 리턴 값의 자료형, 함수의 이름, 매개변수, 함수의 내용, 그리고 리턴 값이 정의된다. 물론 매개변수나 리턴 값이 없는 함수도 존재한다. public static int new_func_2(int a, int b) { System.out.println("This is new_func_2"); System.out.println("return a + b"); return a + b; } 간단한 덧셈 함수를 정의하는 예시이다. 코드 내부의 public과 static의 의미는 클래스를 공부하면서 따로 정리할 예정이다. 추가적으로 리턴값과 매개변수가 없는 함수를 정의하고..

[Java] 5. 자바의 반복문

이 전 강의에서 조건문과 선택문을 배웠으니 반복문만 배운다면 아주 간단한 프로그램 만들기를 시작할 수 있다. 자바의 반복문 문법은 C언어의 반복문 문법과 다를 바 없다. for문 c언어의 문법과 동일하다. for(시작 조건 ; 실행 조건 ; 증감식) 형태로 시작 조건은 한번 실행되고, 실행 조건과 증감식은 매 반복문마다 수행하게 된다. 한 가지 특징은 c언어와 다르게 시작 조건에서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 (C++의 특징과 동일하다.) 실행 조건에는 boolean 자료형만 입력 가능하다. //간단한 반복문 //for(시작조건 ; 실행조건 ; 증감식) for(int i = 1; i

[Java] 3. 자바의 연산자

자바의 연산자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많은 연산자 중 파이썬이나 C랑 조금씩 달랐던 개념에 대해서만 정리를 했다. 대입 연산자와 산술 연산자 대입 연산자는 단순하게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좌측과 우측의 자료형이 동일할 때 대입 연산자 사용이 가능하다. 다른 현 간에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려면 "형 변환"에 대해서 공부가 필요하다. //대입 연산자 int a = 7; System.out.println("\"int a = 10;\"을 수행한 후 a : " + a); 산술 연산자의 종류에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나머지 연산자가 있다. 아래 예제 코드와 주석을 참고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덧셈 연산자 int b = 13; System.out.print("\"a + b..